class="color-gray post-type-text paging-view-more">
본문 바로가기

생활속 생존기술 & 위기대처법

홍수와 폭우 대비 생존 전략

홍수와 폭우 대비 생존 전략

기후 변화로 인해 홍수와 폭우의 빈도가 점점 증가하고 있다. 강한 집중호우는 단시간 내에 도로를 침수시키고 하천이 범람하게 만들며, 심각한 경우 인명과 재산 피해로 이어질 수 있다. 이러한 재난 상황에서 생존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사전에 대비하고, 홍수 발생 시 올바른 대처법을 익혀 두는 것이 필수적이다. 본 글에서는 홍수 전 사전 대비 방법, 홍수 발생 중 안전하게 행동하는 법, 차량 운전 시 주의할 점, 그리고 홍수 이후 복구 및 감염병 예방 대책을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1. 홍수 발생 전에 미리 대비해야 할 필수 사항

홍수가 발생하기 전에 사전 대비를 철저히 하면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특히 저지대나 강 근처에 거주하는 경우 홍수 대비책을 미리 마련하는 것이 중요하다.

① 가정에서 준비해야 할 필수 물품

  • 비상 생존 가방(생수, 비상식량, 응급의약품, 손전등, 건전지, 방수팩에 넣은 중요한 서류 및 신분증)
  • 배터리가 충전된 라디오 또는 휴대폰(정전 시에도 기상 정보와 대피 명령을 받을 수 있도록 준비)
  • 방수용 장화와 우의(홍수 발생 시 감전 및 오염된 물로부터 보호)

② 홍수 대비 가옥 점검 및 방수 조치

  • 지하실과 1층 바닥에 방수 차단막을 설치하고, 침수 가능성이 높은 창문과 문틈을 실리콘 등으로 밀봉한다.
  • 배수구가 막히지 않도록 미리 점검하고, 역류 방지 밸브를 설치해 오수가 역류하는 것을 막는다.
  • 전기 차단기 및 가스밸브 위치를 확인하고, 침수 위험이 높을 경우 사전에 차단하는 방법을 익혀둔다.

③ 가족과의 대피 계획 및 비상 연락망 설정

  • 대피 장소와 경로를 미리 정해두고 가족과 공유한다.
  • 휴대전화가 불통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미리 약속된 장소에서 만날 계획을 세운다.
  • 기상 예보를 수시로 확인하며, 대피 명령이 내려지면 즉시 이동한다.

사전 대비만 철저히 해도 홍수로 인한 피해를 상당 부분 줄일 수 있다.

2. 홍수 발생 중: 안전한 대피 방법과 절대 해서는 안 될 행동

홍수가 발생하면 신속한 대응이 생사를 가른다. 무리하게 물길을 건너거나 차량으로 이동하려다 더 큰 위험에 처할 수 있으므로, 올바른 대처법을 숙지해야 한다.

① 안전한 대피 방법

  • 최대한 빨리 고지대로 이동한다. 건물 2층 이상이나 언덕으로 대피한다.
  • 물이 빠르게 차오를 경우 지붕으로 올라가 구조를 기다린다.
  • 물이 깊어 보이는 곳이나 빠르게 흐르는 곳은 절대 건너지 않는다.
  • 전기 감전 위험이 있으므로 젖은 손으로 전기 스위치를 조작하지 않는다.

② 절대 해서는 안 되는 행동

  • 지하실이나 반지하에 머물러서는 안 된다. 물이 순식간에 차오를 수 있다.
  • 홍수가 난 도로를 걸어서 건너지 않는다. 무릎 높이 이상의 물살은 성인을 휩쓸 수 있다.
  • 전기줄이 물에 잠겨 있을 경우 가까이 가지 않는다. 감전 사고가 발생할 위험이 크다.

홍수 발생 시 빠른 판단과 침착한 대응이 가장 중요하다.

3. 차량 운전 중 홍수를 만났을 때 생존 전략

홍수가 발생했을 때 도로를 주행 중이라면 침수 위험이 커지므로 올바른 운전 및 탈출 요령을 숙지해야 한다.

① 차량 운전 중 안전한 대처법

  • 도로가 침수되기 시작하면 절대 진입하지 않는다.
  • 물 높이가 차량 바퀴의 절반을 넘으면 운행을 중지하고 즉시 탈출한다.
  • 도로가 무너질 가능성이 있는 다리나 언덕 아래쪽으로 가는 도로는 피한다.

② 차량 침수 시 신속한 탈출 방법

  • 차가 물에 잠길 경우, 즉시 안전벨트를 풀고 창문을 연다.
  • 전자식 창문이 작동하지 않으면 헤드레스트의 금속 부분을 이용해 창문을 깨고 탈출한다.
  • 차량이 빠르게 물에 잠기면 문이 완전히 잠기기를 기다렸다가 문을 열고 나와야 한다. (물 속에서 내부와 외부의 수압이 같아지면 문이 쉽게 열린다.)

자동차는 물에 쉽게 떠내려가므로, 홍수가 난 도로에서는 절대 운전하지 않는 것이 최선이다.

홍수와 폭우 대비 생존 전략

4. 홍수 이후 복구 및 감염병 예방 대책

홍수가 지나간 후에는 깨끗한 물을 확보하고, 감염병 예방을 위한 조치를 취해야 한다.

① 홍수 이후 감염병 예방을 위한 필수 조치

  • 수돗물이나 정체된 물을 직접 마시지 말고 반드시 끓여 마신다.
  • 오염된 식품은 절대 섭취하지 않는다. 특히 냉장고에 보관된 음식은 모두 폐기하는 것이 안전하다.
  • 감염병 예방을 위해 손 씻기, 위생 마스크 착용, 벌레 방지 조치를 철저히 한다.

② 주택 및 생활 공간 복구 방법

  • 건물 내 오염된 물을 모두 제거한 후 철저히 건조시킨다.
  • 벽지나 바닥에 곰팡이가 생기지 않도록 소독제를 사용하여 청소한다.
  • 전기가 복구된 후에는 감전 위험이 없는지 반드시 전문가에게 점검을 받는다.

홍수 이후에는 감염병과 곰팡이 문제로 인한 2차 피해를 예방하는 것이 중요하다.

결론: 철저한 대비와 신속한 행동이 생존을 좌우한다

홍수와 폭우는 예측이 가능하지만, 사전 대비를 하지 않으면 돌이킬 수 없는 피해를 입을 수 있다.

  • 홍수가 발생하기 전에 비상 물품을 준비하고, 대피 경로를 확인한다.
  • 홍수 발생 시 즉시 고지대로 이동하고, 감전 및 급류에 주의한다.
  • 차량 운전 중 홍수를 만나면 침수 지역에 진입하지 말고, 차량이 물에 잠기기 전에 탈출한다.
  • 홍수 이후에는 깨끗한 물과 위생 상태를 유지하며 감염병을 예방해야 한다.

홍수는 대비한 만큼 피해를 줄일 수 있다. 미리 준비하고, 침착하게 대처하는 것이 생존의 핵심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