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ass="color-gray post-type-text paging-view-more">
본문 바로가기

생활속 생존기술 & 위기대처법

저체온증과 열사병을 예방하는 생존 전략

저체온증과 열사병을 예방하는 생존 전략

우리 몸은 적절한 체온을 유지해야 정상적으로 기능할 수 있다. 그러나 극한의 환경에서는 체온 조절 기능이 무너질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저체온증열사병 같은 위험한 상태가 발생할 수 있다. 저체온증은 체온이 비정상적으로 낮아져 생명을 위협하는 상태이며, 열사병은 체온이 과도하게 상승해 장기 손상을 초래할 수 있다. 두 가지 모두 적절한 예방과 신속한 대처가 필요하다. 이번 글에서는 저체온증과 열사병의 원인과 증상, 효과적인 예방 전략을 알아보겠다.


1. 저체온증과 열사병의 원인과 증상

저체온증의 원인과 증상

저체온증(Hypothermia)은 체온이 35℃ 이하로 떨어지면서 신체 기능이 저하되는 상태를 의미한다. 주요 원인은 다음과 같다.

  • 추운 환경에서 장시간 노출: 겨울철 야외 활동, 등산, 바다에서의 조난 등
  • 젖은 옷을 입고 바람을 맞는 경우: 체온이 빠르게 떨어짐
  • 신체 에너지 부족: 영양 부족, 피로 상태에서 체온 조절 기능이 저하됨

주요 증상

  • 초기: 오한, 손발 저림, 피부 창백함, 피로감
  • 중증: 근육 경직, 의식 혼미, 맥박과 호흡 저하, 혼수 상태

저체온증이 심해지면 심정지에 이를 수도 있으므로 즉각적인 대처가 필요하다.

열사병의 원인과 증상

열사병(Heatstroke)은 체온이 40℃ 이상으로 상승하면서 뇌와 장기에 손상이 가해지는 상태다. 대표적인 원인은 다음과 같다.

  • 고온 환경에서의 장시간 활동: 한여름 야외 운동, 작업 등
  • 수분과 염분 부족: 땀을 많이 흘렸지만 적절한 보충이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
  • 고온 다습한 공간에서의 장시간 체류: 환기가 안 되는 밀폐된 공간

주요 증상

  • 초기: 어지러움, 두통, 심한 갈증, 근육 경련, 구토
  • 중증: 고열(40℃ 이상), 의식 혼란, 경련, 피부가 뜨겁고 건조함

열사병은 응급 치료가 늦어질 경우 사망 위험이 높기 때문에 즉각적인 대응이 필수적이다.


2. 저체온증을 예방하는 방법

1. 적절한 옷차림 유지하기

  • 겨울철에는 여러 겹의 옷을 착용하여 체온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 속옷: 땀을 흡수하고 빠르게 마르는 기능성 소재
    • 중간층: 보온 기능이 뛰어난 소재(폴라플리스, 울 등)
    • 바깥층: 바람과 수분을 차단하는 방수·방풍 재킷
  • 젖은 옷은 즉시 갈아입기: 젖은 옷을 입고 있으면 체온이 빠르게 떨어진다.

2. 에너지 섭취와 수분 보충

  • 고열량 음식 섭취: 추운 환경에서는 몸이 열을 내기 위해 많은 에너지를 사용하므로 초콜릿, 견과류 등 열량이 높은 음식을 챙긴다.
  • 따뜻한 음료 섭취: 따뜻한 물이나 차를 마셔 체온을 유지한다. (단, 알코올은 체온을 낮추므로 피해야 한다.)

3. 바람을 피하고 체온 보호

  • 바람이 강한 곳에서는 방풍막이나 천막을 이용해 바람을 차단한다.
  • 바닥이 차가운 곳에 오래 앉아 있지 않고 단열재(깔개, 담요 등)를 활용한다.

4. 저체온증 발생 시 응급 조치

  • 환자를 따뜻한 곳으로 이동
  • 젖은 옷을 벗기고 마른 옷으로 교체
  • 따뜻한 음료 제공(단, 의식이 없으면 음료를 주지 않는다.)
  • 핫팩, 담요 등으로 체온 유지
  • 증상이 심각할 경우 즉시 119에 신고

저체온증은 빠르게 악화될 수 있으므로 예방이 최우선이며,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대처해야 한다.


3. 열사병을 예방하는 방법

1. 적절한 수분과 전해질 보충

  • 물을 자주 마시기: 갈증을 느끼기 전에 미리 수분을 섭취해야 한다.
  • 전해질 보충: 땀을 많이 흘린 경우 이온음료나 소금을 적절히 섭취해 나트륨과 칼륨 균형을 유지한다.

2. 시원한 환경 조성

  • 그늘이나 실내에서 휴식: 한낮(오전 11시~오후 3시)에는 야외 활동을 피하고 시원한 곳에서 휴식을 취한다.
  • 적절한 환기: 실내가 너무 더울 경우 선풍기, 에어컨, 창문 개방 등을 통해 온도를 낮춘다.

3. 적절한 복장 착용

  • 통풍이 잘 되는 옷(면, 린넨 등)을 입고 땀 흡수가 잘되는 소재를 선택한다.
  • 모자와 선글라스 착용: 직사광선을 차단하면 체온 상승을 막을 수 있다.

4. 열사병 발생 시 응급 조치

  • 즉시 환자를 시원한 곳으로 이동
  • 옷을 풀어 통풍을 원활하게 하고, 미지근한 물로 몸을 적심
  • 얼음팩을 목, 겨드랑이, 사타구니 등에 대어 체온을 낮춤
  • 의식이 있다면 물을 조금씩 마시게 함
  • 증상이 심하면 즉시 119 신고 후 병원 이송

열사병은 신속한 조치가 없으면 생명에 위협을 줄 수 있으므로 빠르게 대응하는 것이 중요하다.


 

저체온증과 열사병을 예방하는 생존 전략

4. 저체온증과 열사병 예방을 위한 실생활 전략

1. 기상 정보를 확인하고 대비

  • 외출 전 기온과 날씨를 확인하고, 날씨에 맞는 복장을 준비한다.
  • 한파·폭염 특보가 발령된 경우 실외 활동을 자제한다.

2. 응급 키트 준비

  • 겨울철: 핫팩, 보온 담요, 고열량 간식 준비
  • 여름철: 물, 전해질 보충제, 쿨링 타월 휴대

3. 주변 사람들과 협력

  • 극한 환경에서는 혼자 활동하지 말고 동료와 함께 다닌다.
  • 가족이나 친구에게 자신의 위치와 일정 등을 미리 알린다.

저체온증과 열사병은 예방이 최우선이며, 발생했을 때 신속한 대응이 필요하다. 올바른 복장과 생활 습관을 유지하고, 응급 상황에 대비하면 극한의 환경에서도 건강을 지킬 수 있다. 자신과 주변 사람들의 안전을 위해 체온 관리에 항상 주의를 기울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