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 아픈 할 수 없지만… 혹시 가족한테 옮기면 어쩌지?”
대상포진에 걸린 분들이 가장 먼저 떠올리는 걱정이에요. 앓는 고통보다 더 신경 쓰이는 건, 내 가족이나 가까운 사람이 혹시라도 나 때문에 아프게 될까 하는 마음이죠.
그런데 정말 대상포진은 옮기는 병일까요? 가족에게 전염될 수 있다면, 얼마나 조심해야 할까요?
이번 글에서는 대상포진의 전염 가능성과 경로, 전염 기간은 물론이고, 일상에서 어떻게 대처하면 좋을지까지 꼭 알아야 할 내용을 쉽고 정확하게 정리해봤어요.
1. 대상포진, 정말 전염이 될까?
① 원인은 ‘수두 바이러스’
대상포진은 우리가 흔히 아는 수두를 일으키는 바이러스가 원인입니다. 어린 시절 수두를 앓고 나면 바이러스가 몸속에 숨어 있다가, 성인이 된 후 면역력이 약해지면 다시 활동하면서 대상포진이 생기죠.
② 대상포진에서 대상포진이 옮는 건 아님
많은 분들이 착각하는 부분인데, 대상포진 환자와 접촉한다고 해서 대상포진이 그대로 전염되지는 않습니다. 이미 수두를 겪은 적이 있다면, 면역력이 생겨서 대상포진 환자와 함께 있어도 같은 병에 걸리지는 않아요.
③ 수두 경험 없는 사람은 예외
하지만 수두를 한 번도 겪지 않았거나 예방접종을 하지 않은 사람은 조심해야 합니다. 대상포진 환자의 수포(물집)와 접촉하면, 대상포진이 아닌 ‘수두’ 형태로 전염될 수 있어요. 그래서 특히 아이들이나 청소년이 있는 가정에서는 주의가 필요합니다.
2. 전염되는 경우와 전염되지 않는 경우
① 전염되는 경우
- 환자의 수포에서 진물이 나온 상태에서 직접 닿았을 때
- 환자가 사용한 수건, 옷, 침구에 진물이 묻어 다른 가족이 접촉했을 때
② 전염되지 않는 경우
- 환자의 수포가 딱딱하게 마른 상태일 때
- 옷이나 밴드로 발진 부위를 가려둔 경우
공기만으로는 전염되지 않음 (수두처럼 공기 전파가 아닌 접촉 전파이기 때문)
👉 즉, 같은 집에서 생활하더라도 직접 접촉만 피하면 큰 위험은 없다는 것을 꼭 기억하셔야 해요.
3. 전염 기간은 언제까지일까?
① 전염성이 강한 시기
대상포진 환자에게서 전염성이 가장 강한 시기는 수포가 터지고 진물이 나오는 시기입니다. 이때는 가족과의 접촉을 최소화하는 것이 좋아요.
② 전염성이 사라지는 시기
수포가 딱지로 아물면 전염 위험이 거의 없어집니다. 보통 발병 후 2~3주 정도가 지나면 전염성은 사라진다고 알려져 있어요.
👉 따라서 환자는 이 기간 동안만 조심하면 되고, 가족들도 필요 이상으로 걱정할 필요는 없습니다.
4. 가족과 함께 생활할 때 지켜야 할 생활 수칙
① 아이·청소년은 특별히 조심
수두 예방접종을 하지 않은 아이는 대상포진 환자와 접촉 시 수두로 전염될 수 있습니다. 아이가 있는 가정에서는 환자의 피부 병변을 꼭 가려두고, 같은 침구나 수건을 쓰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② 개인 위생 철저히 하기
- 손을 자주 씻기
- 가족끼리도 수건, 옷, 식기류 따로 쓰기
- 발진 부위는 밴드나 옷으로 가려서 진물이 묻지 않도록 하기
③ 면역력이 약한 가족 보호하기
노인, 임산부, 암 치료 중인 가족처럼 면역력이 약한 분들은 감염 위험이 크기 때문에 가급적 환자와 접촉을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때는 잠깐의 거리 두기가 서로를 위한 배려입니다.
5. 전염성에 대한 흔한 오해
① “같이 밥만 먹어도 옮는다?”
→ 아닙니다. 대상포진은 공기 전염이 되지 않기 때문에 같은 공간에서 생활하는 것만으로는 옮지 않아요.
② “대상포진이 걸리면 가족 모두 위험하다?”
→ 그렇지 않습니다. 이미 수두에 걸린 적이 있는 가족은 거의 안전합니다. 다만 수두 경험이 없는 사람만 주의하면 됩니다.
③ “완치 후에도 계속 전염된다?”
→ 수포가 딱지로 마르고 나면 전염성은 사라집니다. 완치 후에는 가족에게 옮길 일이 없어요.
마무리
대상포진은 이름 때문에 “전염병”처럼 느껴지지만, 실제로는 대상포진 환자에게서 대상포진이 직접 전염되지는 않습니다.
다만 수두를 겪어보지 않은 사람에게는 ‘수두’ 형태로 옮길 수 있다는 점만 기억하면 됩니다.
가족과 함께 생활한다면 지나친 불안보다는, 손 씻기·수건 따로 쓰기·수포 가리기 같은 생활 속 습관을 지키는 것이 훨씬 효과적인 예방책이에요.
'3. 건강관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과민성대장증후군 가스·가스형|증상, 약, 병원 치료까지 총정리 (0) | 2025.08.25 |
---|---|
팔꿈치 착색 약국 크림 추천|집에서 쉽게 관리하는 방법 (0) | 2025.08.24 |
상황별 염증 대응 팁|감기·운동 후·스트레스까지 맞춤 영양제와 음식 (0) | 2025.08.21 |
비만 치료제 터제파타이드(마운자로), 수면무호흡증 개선 효과까지? 연구 결과 총정리 (0) | 2025.08.20 |
2025 홍역 유행 국가·지역 총정리|여행 전 꼭 확인하세요 (0) | 2025.08.14 |
1형 당뇨, 얼마나 힘들길래? 장애 인정 시 달라지는 지원 총정리 (0) | 2025.08.13 |
공복 구취 심해졌다면? 다이어트 입냄새 없애는 5가지 방법 (0) | 2025.08.12 |
저염식 부작용, 피로·어지럼증이 나타나는 이유와 대처법 (0) | 2025.08.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