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5. 이슈 & 정책

산책 중 맹견이나 야생동물을 만났을 때의 행동법

 

산책 중 맹견이나 야생동물을 마주치는 상황은 누구에게나 일어날 수 있다. 이러한 돌발 상황에서 안전하게 대처하려면 사전에 필요한 정보를 알고 대비해야 한다. 당황하지 않고 올바른 행동을 취하는 것이 생명을 지키는 열쇠가 된다.

 

1. 상황을 파악하고 위협을 최소화하는 법

① 동물의 행동을 먼저 관찰한다

동물이 달려오거나 으르렁거릴 때, 먼저 거리를 두고 동물의 행동을 관찰한다. 꼬리를 치며 경계하거나 으르렁거리는 등 위협 신호를 보인다면, 갑작스러운 움직임은 삼가야 한다.

② 시선을 피하면서 천천히 뒤로 물러난다

맹견이나 야생동물과 눈을 마주치는 것은 도전으로 받아들여질 수 있다. 시선을 살짝 아래로 두며 천천히 후퇴해야 한다. 뛰거나 등을 보이면 추격 본능을 자극할 수 있다.

③ 큰 소리보다는 낮고 단호한 목소리로 말한다

공포심에 큰 소리를 지르면 동물을 자극할 수 있다. 대신 “물러서”, “가!” 같은 단어를 낮고 단호하게 반복하면 위협 감소에 도움이 된다.

④ 작은 물건으로 시선을 분산시킨다

가지고 있는 가방, 물병, 옷 등을 천천히 던져 동물의 시선을 분산시키는 것도 효과적이다. 이때 목표는 도망이 아니라 거리를 두고 회피하는 데 있다.

 

2. 맹견과 마주쳤을 때의 구체적 대응

① 입마개 없는 개는 항상 잠재적 위협이다

맹견은 평소 길들여져 있어도 돌발 행동을 할 수 있다. 입마개가 없는 경우에는 일정 거리 이상 접근하지 않도록 주의한다.

② 방어 자세를 취해 공격을 피한다

공격 직전, 옷이나 가방을 들어 방패처럼 활용하고, 가능한 한 손, 다리 대신 소지품으로 물리게 유도한다. 팔짱을 끼고 웅크리는 것도 방어에 효과적이다.

③ 바닥에 엎드려 머리와 목을 감싼다

넘어졌을 경우, 얼굴을 바닥으로 하고 팔로 머리와 목을 감싸 피해를 최소화한다. 몸을 움츠린 채 조용히 기다리는 것이 가장 안전한 방법이다.

④ 공격 이후 신속히 병원과 보건소에 방문한다

맹견에 물렸을 경우, 감염 위험이 있으므로 즉시 병원 진료 후 보건소에 신고하고 광견병 예방조치를 받아야 한다.

 

3. 야생동물을 만났을 때의 행동 지침

① 소리를 내거나 진동을 주어 먼저 알린다

야생동물은 사람을 피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산책 중에는 발걸음 소리, 스틱 두드리기 등으로 미리 존재를 알리는 것이 좋다.

② 새끼가 있는 경우에는 절대 접근하지 않는다

새끼를 지키려는 본능은 동물의 행동을 예측 불가하게 만든다. 멀리서 발견했다면 즉시 경로를 바꾸고 반대 방향으로 이동해야 한다.

③ 곰이나 멧돼지는 도망보다 관망이 우선이다

곰이나 멧돼지를 마주쳤을 경우, 무작정 도망치기보다는 천천히 뒤로 물러나는 것이 기본이다. 공격하지 않도록 방어적인 태도를 유지한다.

④ 동물이 물러났다고 바로 행동하지 않는다

일단 시야에서 사라졌다고 해서 안심할 수 없다. 일정 시간 그 자리에 머물며 주위를 다시 확인한 후, 이동하는 것이 안전하다.

산책 중 맹견이나 야생동물을 만났을 때의 행동법

 

4. 사전 준비와 예방 수칙

① 산책 루트를 미리 점검한다

야생동물 출몰 정보가 있는 지역은 피하고, 가능한 한 밝고 사람들이 많은 경로를 택하는 것이 안전하다.

② 호루라기와 스프레이를 휴대한다

호루라기는 경고음으로, 맹견 전용 스프레이는 방어 수단으로 유용하다. 사용 방법은 사전에 익혀두어야 한다.

③ 동물 접근 시 대비된 자세를 연습한다

갑작스러운 상황에서 반사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웅크리기, 가방 방패 활용 등은 가족끼리 또는 혼자 연습해보는 것이 좋다.

④ 신고 앱을 설치하고 위치 공유를 설정한다

‘안심 귀가 앱’이나 ‘스마트 119’처럼 위급 상황에 신속히 대응할 수 있는 앱을 설치하고, 가족과 위치를 실시간 공유하도록 설정해 둔다.

 

마무리 글

산책 중 맹견이나 야생동물을 만나는 것은 누구에게나 생길 수 있는 위험이다. 올바른 지식과 대응법을 익히는 것은 나뿐 아니라 함께 걷는 가족, 이웃의 안전을 지키는 일이기도 하다. 준비된 자만이 위험을 피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