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9월부터 예금자 보호 한도가 기존 5천만 원에서 1억 원으로 확대된다. 이 변화는 우리의 예·적금 전략에 어떤 영향을 줄까? 저축은행, 시중은행, 증권사 예금상품의 특징을 비교하며 내 자산을 어떻게 나누는 게 좋을지 알아본다.
1. 예금자 보호 1억 원 확대, 왜 중요한가?
① 기존엔 5천만 원 초과 시 무조건 쪼개야 안전했다
금융기관이 파산하더라도 5천만 원까지만 보호되었기 때문에, 여러 은행에 예금을 나눠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② 이제는 1억 원까지 보호 가능
2025년 9월부터는 금융사 1곳당 1억 원까지 보호되므로, 큰돈을 한 곳에 예치해도 일정 수준의 안전성 확보 가능
2. 어디에 넣는 게 가장 유리할까?
금융기관별비교
금융기관 | 장점 | 단점 |
---|---|---|
시중은행 | 안정성 높음, 전국 지점망, 간편한 앱 | 금리가 낮음 (정기예금 기준 2~3%) |
저축은행 | 고금리 (정기예금 3~4%대 가능), 예금자 보호 대상 | 파산 리스크 인식, 앱 사용성 낮음 |
증권사 CMA | 수시입출금 가능, 이자 자동 지급 | 예금자 보호 대상 아님, 증권사 파산 시 리스크 있음 |
3. 나에게 맞는 분산 전략은?
① 시중은행 + 저축은행 분할 예치
- 안정성과 금리를 함께 고려할 수 있음
- 각각 5천만 원~1억 원 범위로 나누면 리스크 최소화 가능
② CMA는 생활비용으로 활용
- 단기 자금, 비상금 등은 CMA로 수시입출금
- 예금자 보호는 되지 않지만 소액 단기 자금용으로는 유용
③ 보험사 저축성보험? 가입 전 확인 필요
일부 저축성 보험도 보호 대상이지만, 사업비와 해약환급률 등 조건 꼼꼼히 따져야 함
마무리
이제는 예금자 보호 제도가 확대되는 만큼, 무조건 쪼개기보다 “어디에 얼마나” 넣을지를 전략적으로 생각할 시기다.
내 자산 규모와 성향에 맞는 분산 전략만 잘 세워도, 안정성과 수익성 두 마리 토끼를 잡을 수 있다.
▶ 관련 글 보기: 2025년 예금자 보호 1억! DSR 수도권·지방 차등적용 총정리
'5. 이슈 & 정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4.5일제 공약, 주 36시간 시대에 내 월급은 괜찮을까? (0) | 2025.05.17 |
---|---|
포스텔러 만세력, 초보도 쉽게 보는 법 총정리! (0) | 2025.05.17 |
청년내일저축계좌와 청년도약계좌, 중복 가입 가능할까? (0) | 2025.05.16 |
무주 여행과 산골영화제를 한 번에! 2025 산골영화제 티켓 A to Z (0) | 2025.05.15 |
모두가 궁금하다! 대선후보 배우자-이재명 아내 김혜경, 김문수 부인 설난영 (0) | 2025.05.13 |
“대선 후보 3인이 약속한 부동산·청년·복지 공약 총정리!” (0) | 2025.05.12 |
이자도 0원? 모르면 손해! 햇살론 유스 2025, 지금 신청 안 하면 후회합니다 (0) | 2025.05.12 |
새 교황 레오 14세, 교회는 어디로 향할까? (0) | 2025.05.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