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내일저축계좌 중복 / 청년도약계좌 중복 / 청년 계좌 둘 다 가능?
정부가 운영하는 청년 자산형성 지원 계좌 중 대표적인 두 가지는 '청년내일저축계좌'와 '청년도약계좌'이다. 모두 매달 일정 금액을 저축하면 정부가 매칭하여 자산 형성을 도와주는 정책이지만, 많은 청년들이 이 두 계좌에 동시에 가입할 수 있는지 혼란을 겪는다. 이 글에서는 두 계좌의 차이점과 중복 가입 가능 여부, 선택 기준을 정리한다.
1. 청년내일저축계좌와 청년도약계좌, 뭐가 다를까?
① 청년내일저축계좌
저소득 청년층의 자산 형성을 돕기 위한 계좌로, 기준 중위소득 100% 이하인 만 19세~34세 청년이 대상이다.
본인이 월 10만 원을 저축하면 정부가 최대 30만 원까지 추가 지원하며, 3년간 유지 시 최대 1,440만 원을 모을 수 있다.
② 청년도약계좌
중·고소득 청년까지 포함하는 전국민형 계좌로, 연소득 6,000만 원 이하인 근로청년이 대상이다.
월 70만 원까지 납입할 수 있고, 정부가 월 최대 4만 원까지 지원한다. 5년 만기 시 최대 5,000만 원 수준의 자산 형성이 가능하다.
2. 두 계좌, 중복 가입은 가능한가?
① 정부 방침상 중복 가입은 불가
두 계좌는 정부 예산을 활용한 지원 사업으로, 중복 지원이 금지된다. 동일인이 중복 신청하는 경우, 시스템 상에서 자동으로 걸러져 탈락 처리된다.
② 선택 기준이 다르다
- 소득이 낮고 자립 기반이 약한 청년은 '청년내일저축계좌'
- 소득이 일정 수준 이상이고 장기 자산 형성을 원하는 청년은 '청년도약계좌'
중복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자신의 소득 수준과 목적에 따라 전략적으로 한 가지를 선택해야 한다.
3. 중복 신청 시 어떤 불이익이 있을까?
① 자동 탈락 처리
국세청·복지부 시스템에서 정보가 연동되어, 중복 신청 시 한쪽은 자동으로 탈락되거나 보류 처리된다.
② 고의 중복 시 불이익 가능
의도적인 중복 신청으로 간주될 경우, 향후 정부 지원사업 참여 제한 등의 불이익이 발생할 수 있다.
4. 어떤 계좌가 나에게 맞을까? 한눈에 비교
아래는 두 계좌의 주요 조건을 비교한 표이다.
구분 | 청년내일저축계좌 | 청년도약계좌 |
---|---|---|
대상 연령 | 만 19~34세 | 만 19~34세 |
소득 기준 | 기준 중위소득 100% 이하 | 연 6,000만 원 이하 |
납입 금액 | 월 10만 원 고정 | 월 최대 70만 원 |
정부 지원 | 월 최대 30만 원 | 월 최대 4만 원 |
지원 기간 | 3년 | 5년 |
만기 수령액 | 최대 약 1,440만 원 | 최대 약 5,000만 원 |
중복 가입 | 불가 |
마무리
청년 자산 형성을 위한 대표 계좌인 ‘청년내일저축계좌’와 ‘청년도약계좌’는 중복 가입이 불가능하다. 자신의 소득 조건과 장기 목표를 바탕으로 한 가지를 선택해 신청하는 것이 가장 현명한 전략이다.
'5. 이슈 & 정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4.5일제 공약, 주 36시간 시대에 내 월급은 괜찮을까? (0) | 2025.05.17 |
---|---|
포스텔러 만세력, 초보도 쉽게 보는 법 총정리! (0) | 2025.05.17 |
무주 여행과 산골영화제를 한 번에! 2025 산골영화제 티켓 A to Z (0) | 2025.05.15 |
예금자 보호 1억 원 시대, 저축은행 VS 시중은행 (0) | 2025.05.14 |
모두가 궁금하다! 대선후보 배우자-이재명 아내 김혜경, 김문수 부인 설난영 (0) | 2025.05.13 |
“대선 후보 3인이 약속한 부동산·청년·복지 공약 총정리!” (0) | 2025.05.12 |
이자도 0원? 모르면 손해! 햇살론 유스 2025, 지금 신청 안 하면 후회합니다 (0) | 2025.05.12 |
새 교황 레오 14세, 교회는 어디로 향할까? (0) | 2025.05.09 |